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43건)

불원정 不遠亭
광산구 신흥동(도호동)   광산구 신흥동 도호마을엔 조선시대 예문관·집현전·홍문관·규장각 등의 종2품 관직 증贈 제학提學을 지냈던 심재 박원명朴源明(1847~ ?)이 축조한 불원정이 있었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30리 거리인 도호마을에 있다. 불원不遠은 멸망의 선례는 가까운 곳에 있다는 뜻으로 ‘다른
부용정 芙蓉亭
남구 고싸움로 2(칠석동)   부용정은 감사 부용 김문발(金文發, 1359~1418)이 1411년에 별장으로 세운 정자이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서남쪽 30리에 있다. ‘부용’은 송宋의 주돈이周敦離가 ‘애련설愛蓮設’에서 연꽃을 꽃 중의 군자라고 칭송하였던 것에서 따온 것이다. 정내에는 창암 이삼만의 '芙蓉
봉생정 鳳笙亭
동구 충장로 2가   광주읍성 내 황화루 동쪽 지금의 동구 충장로2가에 있었다는 봉생정, 1760년에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금폐今廢라 했고 《광주읍지》(1879, 1924)에도 지금은 없어졌다고 했다.황화루의 동쪽에 있던 누정인 봉생정은 《동국여지지》에는 나오지만 《여지도서》에는 ‘지금 없어졌다’고 한
봉산정사 鳳山精舍 엄이재 掩耳齋
서구 용두동 산 79번지   서구 용두동 봉학마을 깊숙한 꽤 높은 곳 봉황산 가파른 중턱에는 한 지식인이 시대적 아픔에 어쩌지 못하고 읍궁암泣弓菴에서 울분을 삭히며 세상을 마감했던 유서 깊은 흔적이 있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30리의 거리인 봉황산에 위치해 있다.주변에 큰 은행나무가 자리하고 봉산
백운정 白雲亭
광산구 두정동 산82《광주읍지》(1879, 1924)에 주의 서북쪽 40리에 있으며 고봉 기대승(1527~1572)이 지었다고 했다. 기대승이 출가해 처음으로 생활한 곳으로 옛 소고용리召古龍里에 속해 있었다. 고봉의 8대손 종손 연기 현감 기상익 이후 1760년께 퇴락되었다. 광산구 임곡 본량동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고경명의
백야당 白野堂
광산구 진곡동   《광주읍지》(1879, 1924)에 따르면 주의 북쪽 30리에 있다. 정랑 백야당 박광원(朴光元, 1659∼1741)은 광산구 진곡에 살던 우헌 박상현의 둘째아들로 박광일의 아우이자, 박광선의 형이다. 1699년 기묘증광사마시己卯增廣司馬試에 생원 1등으로 합격하여 벼슬이 형조정랑刑曹正郞, 의금부도사義禁府
백암 白菴
북구 하백로29번길 24 (매곡동)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 거리에 김기현이 건립하였다. 후석 오준선의 기문이 있다. 이 기문에 백암은 서석산 북쪽의 연화봉 아래 있다고 하였다. 김기현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화순 동복에 거주한 농재 김곤변의 8세손 김윤겸金潤謙의 아들이다김기현이 작고한
무송정 撫松亭
남구 칠석동 30 (이리마을)   참봉 서태환徐台煥(1857~1940)이 세상을 비관하여 숨어 지내기 위해 고싸움놀이 전수관 바로 뒷편 마을에 당시의 일제강점기 세상을 비관하여 스스로 종적을 감추기 위해 1922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서태환이 젊어서 문학적 재능이 있어 사람들에게 선망의 대상이 되었으나 한
모룡대 慕龍臺
북구 일곡로 51번지   모룡대는 1934년 노종구가 부친 곡은 谷隱 노훈규(1844∼1915)의 유적을 기념키 위해 세운 정자이다. 광주읍지(1924) 효자란에 노훈규가 기록돼 있다. 한 평도 안 되는 초미니 정자에는 글이 새겨진 목판이 21개나 걸려있어 버거울 정도다.원래 모룡대가 있던 곳은 임금[龍]을 중심으
명수당 明水堂
북구 북쪽 10리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 거리에 있는 건물로 죽산안씨 20세인 명수明水 안정환安正煥(1843~1909)이 지었다. 오늘날 북구 일곡동이다.안정환의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덕유(德有)이다. 그가 정자에서 교차하는 만감으로 읊은 시에서 정자를 지은 이유를 알 수 있다.   명수라는 이
명봉재 鳴鳳齋
주의 북쪽 10리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에 있다. 1879년판은 신와 이복근이 지었다 했는데, 1924년판에는 국포國圃 이규서(李奎緖, 1734~1775)가 건립한 것으로 수정됐다. 이규서의 제영에는 명봉재를 이렇게 설명한다.   금琴과 서書를 좋아하는 늙은 나이 이내 몸이시냇가 서쪽 가운데에
만취당 晩就堂
북구 일곡동 (일동마을)   만취당은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5리에 있다. 만취(晩翠)는 논어 자한(子罕) 에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안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彫也” 는 것처럼 의지를 굳게 가져 어려움에도 변하지 않는다는 세한(歲寒)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만오정1 晩悟亭
남구 노대동 473   만오 윤하검(1813~1905)을 위해 1902년 그의 두 아들인 희진喜鎭, 희성喜聖 형제가 지은 정자이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남쪽 10리 거리에 있다. 윤하검은 집이 가난했지만 사람을 좋아하는 성품 때문에 항시 시인 묵객들이 그의 집을 찾곤 했다. 윤하검은 종이품의 가의대부嘉義大夫에
동계정 東磎亭 / 동계초당 東溪草堂
동구 계림동 동계정/동계초당은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동쪽 10리에 있다. 광주광역시 북구 청풍동 등촌(登村)마을은 청풍이라는 동이름 처럼 산수가 수려하고 목가적인 풍경이 펼쳐진 자연마을이다.등촌(登村)마을 골짜기 대밭골에는 1774년(영조 50년)에 평산신씨(平山申氏)로 사후에  증지
대환정 大歡亭 화수정 花樹亭
남구 서오층석탑2길 15 (광주공원)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남쪽 1리 정도의 거리에 있다. 일제강점기 때 광주지역 당호로 비서승秘書丞의 벼슬을 지낸 부호 사범士凡 임병룡(1846~ ?)이 1927년 정자를 지어 노인들의 유회소로 활용하였다. 별칭으로 관덕정이다. 당시 임병룡은 光州郡 不動坊面 社洞 4統3戶에 주소를 두
남덕정 覽德亭
남구 석정동 120   석정동 출신의 나주나씨 지재 나창을 선조로 1881년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1826-1885)가 건립한 휴양 겸 강학소인 초가이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 마을 북쪽 길로 가다보면 왼쪽 모퉁이에 남덕정이 자리하고 있다. 현와 고광선 등에게 성리학과 도덕을 전수하여 수많은 인
낙암 樂庵 낙암정
광산구 신룡동 391-12 (신촌마을)《광주읍지》(1924)에서 낙암은 주의 북쪽 40리 거리에 있다고 했다. 신촌마을 뒤 중앙 언덕에 기씨의 재각인 청량재淸凉齋와 함께 낙암정이 있다. 낙암은 고봉 기대승(1527~1572)이 성리학을 강론한 곳으로 1570년에 짓고 그 아래 동편에 수칸數間의 우사寓舍를 지어 찾아오는 학자들을 머
균산정 筠山亭
북구 무등로 1550(청풍동, 신촌마을) 균산정은 북구 청풍동 신촌마을 초입에 있는 정자이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동쪽 10리에 있다. 균산筠山이란 대나무의 살갗처럼 추운 겨울의 눈보라에도 그의 절개가 변치 않음을 뜻한다. 노사 기정진 선생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은 남평 문씨 균산筠山 문용현文龍鉉의 유
관수정 觀水亭 2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 (화암마을)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40리에 있다. 찰방 이영선의 아들인 묵은 이정신李鼎新(1593~1674)이 만년을 위해 갈미봉 남쪽에 서옥리西玉里 신촌마을에 지었던 정자이다. 1645년엔 대치면 장안동 선산 아래에 짓고 관수재觀水齋라 하였다. 이어 1695년에 지은 것을 관수정이라 했다. 1918
공북루 拱北樓
북구 독립로237번길 (광주일고 부근)   공북루는 주州의 북쪽을 향한 누각을 말한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북쪽 5리에 있고, 옛날에는 절양루折楊樓라 칭하였는데 1670년 목사 오두인 때 공북루로 고쳤다. 목사 신석유가 중수하였다는 기문이 있다’고 기록했다. 조선 태조 1392년 무렵 건립으로 추정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